카테고리 없음

[GCP-1] 구글 클라우드 기본 개념

솜정 2022. 1. 10. 14:26

0. 지난글

클라우드 공부 입문

https://ejtag.tistory.com/22

 

[클라우드 공부] 클라우드 입문

0. 개요 요새 어딜가든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한다. 그래서 이직하고자 하는 회사 또한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이직하기 위해서 클라우드 공부는 필수다. 목표는 클라우드 플랫

ejtag.tistory.com

1. google cloud platform

1-1. 클라우드 플랫폼이란

 

1-2. IaaS / PaaS / SaaS

 

1-3. GCP vs AWS vs Azure

 

2. 기본 개념

2-1. GCP 리소스 (데이터 센터)

구글 데이터 센터에 물리적 자산과 가상머신과 같은 리소스가 있다.

각 영역은 Region - detail region - zone 으로 되어 있다.

Region은 큰 대륙 규모를 칭한다.

ex) 동아시아에 있는 'a' 존 = asisa-east1-a

이런 리소스 분포를 통해 장애대비, 지연 감소 등을 이점으로 가져갈 수 있다.

"고정 외부 IP 주소" 가 포함이 되면, 같은 zone에 위치한 리소스에서만 접근 할 수 있게 제한할 수 있다.

 

2-2. 프로젝트

GCP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구글 계정이 있어야 하고, 프로젝트를 만들어야 한다.

프로젝트는 네임 스페이스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각 프로젝트에서 모든 리소스는 고유한 이름을 가져야 한다.

A프로젝트의 c 리소스 / B프로젝트의 c 리소스 (o)

A프로젝트의 c 리소스 / A프로젝트의 또다른 c 리소스 (x)

 

프로젝트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

- 프로젝트 이름 (변할 수 있음)

- 프로젝트 ID (변하지 않음)

- 프로젝트 번호 (변하지 않음)

 

2-3. GCP 클라우드 콘솔

GCP 클라우드 콘솔은 GCP 프로젝트와 리소스를 관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GUI형태의 환경을 제공한다.

"클라우드 쉘" 기능은 BASH, Vim, Python, Java, Go, Dockeer, 클라우드 SDK 도구 및 언어가 설치되어 있어 별도 설치 없이 CLI 명령어를 통해 GCP 리소스에 명령이 가능하다.

지원하는 언어 : java, go, pytho, Node.js, PHP, Ruby, .NET

 

2-4. 클라우드 SDK(gcloud)

2-3에서 설명했던 클라우드 콘솔 외에도 터미널에서 명령을 통해 GCP에 엑세스 할 수 있는 gloud라는 CLI도구 지원한다.